<aside> ⏳ 2022년 7월 8일
</aside>
네트워크에 대한 다양한 글을 보다보면 자연스럽게 사용하고있는 “HTTP”라는 단어! HTTP는 무엇이고 HTTP Transfer는 무엇인지 공부해보자!
HTTP =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또는 Hyper TexT Protocol
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문서를 교환하기위한 약속이며 텍스트와 하이퍼텍스트
를 전송하는 길을 의미한다.
→ 결국 텍스트와 하이퍼텍스트는 string 타입의 데이터이며 이를 교환한다.
<aside> 💡 참고 객체 데이터를 JSON을 사용하여 String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한다.
</aside>
흔히 웹 브라우저 주소 맨 앞에 “<http://~>”
의 의미가 해당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정보를 교환하겠다
라는 의미이다.
HTTP 헤더 : 바디와 요청/응답에 관한 정보를 Key : Value
값으로 구성되어있다.
HTTP 바디 : 실제 데이터가 담겨져 있는 부분으로 구성되어있다.
요청
(req : request)과 응답
(res : response)가 필수적으로 있어야한다.
HTTP Request의 Method
GET
: 요청 입장에서 데이터 가져올때 사용POST
: 요청 입장에서 데이터를 포스팅할때 데이터의 생성/수정/삭제할 때 사용PUT
: 데이터를 생성(변경)할떄사용한다.DELETE
: 데이터를 서버에 삭제요청시 사용한다.HEAD
: 서버 헤더 정보 획득, GET과 유사하지만 Response Body를 반환하지 않음.OPTIONS
: 서버 옵션들을 확인하기 위한 요청으로 CORS에서 사용한다.HTTP 상태코드
정보
: 요청을 받았으며 작업을 계속 진행하라는 의미.성공
: 요청을 성공적으로 받았으며 인식했고 수용을 하였다.리다이렉션
: 요청 완료를 위해 추가 작업 조치가 필요하다.클라이언트오류
: 요청 문법이 잘못되었거나 요청을 처리할수 없다.서버오류
: 서버가 명백히 유효한 요청에 대한 충족을 실패하였다.이렇게 많은 정보를 이동할 수 있는데 단순히 “HTTP”라는 단어를 입력해서 데이터가 이동하는 길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이 신기했다. 홈페이지에 오류가 발생하면 나오는 숫자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궁금했는데 이번기회에 정리할 수 있어서 알찬 시간이였다 😎